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실행2

일을 잘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4가지 특징 (feat. 추진력) 1. 대충 시작한다. 아다리 나오면 사람 모으고, 바로 시작합니다. "다음에 한번 봅시다", 이런 거 없습니다. 그 자리에서 바로 진행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사소한 걱정이나 장애물은 무시합니다. 2. 푸시해서 추진한다. 일단 시작한 다음, 팀을 푸시합니다. 말보다는 스스로 행동으로 보여줘, 팀원들이 따라오게 만듭니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초기 데이터를 얻습니다. 3. 재수립(수습) 초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략과 전술을 재수립합니다. 행동에 명확한 목적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4. 잘한다. 프로젝트 방향성이 명확해지고, 실질적인 데이터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프로젝트는 점점 더 정교해집니다. 남들 계획 수립한다고 1~2개월 날리는 동안 일잘러들은 1~2개월 안에 3번 내지 4번으로 들어갑니다. 속도가 차원.. 2024. 4. 21.
실행이 답일까? (feat.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 실행이 답일까?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가 재밌는 연구를 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과업을 정보탐색, 방법탐색, 결정, 실행, 기타 5가지로 나누었다. 그다음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에 따라 그 비중이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재미있게도 성공하는 프로젝트일수록 정보탐색에 시간을 더 많이 썼다. 정보탐색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거나 공유하고 공부하고 탐구하는 과업들을 말한다. 우리는 가끔 실행이 반이라느니 무조건 돌격해야 하느니 하지만 맨땅에 헤딩하면 머리만 깨진다. 이는 여러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반복적으로 증명된 사실이다. 조망하는데 직감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최종적인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작년에는 무지성 실행을 표방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런데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2024.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