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트코인2 비트코인, 간단한 수학과 보안기술의 결합체 코인 이야기가 자주 나오는 것을 보니 비트코인이 강세인 모양이다. 비트코인은 간단한 수학과 보안기술의 결합체다. 그래서 말도 많고 탈도 많다. 비트코인을 이해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이것을 발행하는 국가를 한번 가정해 보는 것이다. 이 국가는 강력한 보안기술을 가지고 있어서 절대로 해킹이 불가능하다. 이 국가에서 비트코인이라는 화폐를 발행하고 있다. 총 발행개수도 이미 정해져 있다. 이 국가는 신용도도 최고라 이 발행개수가 변경될 가능성은 앞으로 영원히 없다. 여기까지 보면 이 국가의 화폐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하지 못할 이유가 없는데 화폐가 맞네 아니네 논란인 이유는 이 화폐가 전적으로 IT기술 와 컴퓨터 알고리즘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기술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으면 인정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기.. 2024. 3. 25. P2P 전자화폐시스템 (feat. 비트코인의 화폐 변화 가능성) 임일섭이라는 분이 "사토시 나카모토의 프로젝트는 실패다. 그가 구상한 것은 2008 페이퍼의 제목에도 등장하듯이 P2P 전자화폐시스템이다. ETF의 기초자산이 되는 투자대상 자산이 도대체 어떻게 지급결제 수단이 될 수 있겠는가 역설적으로 이번 결정은 비트코인이 화폐가 될 수 없음을 다시 한번 확증해 준 사건이다."라고 하셨는데, 투자 대상 자산이 되면 계속 보유를 하는 게 이익이다. 그런데 화폐가 되려면 그것을 사용해서 시중에서 계속 돌아야 한다. 따라서 투자자산 대상으로서 가치가 생기니까 보유한다는 것과 화폐로 사용된다는 것은 서로 모순된다. 보유하는 것과 내보내는 것의 충돌이다. 그런 이유로 ETF 승인은 비트코인이 화폐가 되기 점점 더 어려워지는 쪽으로 작용하게 된다. 단지 투자 대상으로서의 자산으.. 2024. 2.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