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목2 발목 염좌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 (feat. 빙판길 삐끗이, 퇴행성 관절염까지) 눈이나 비가 온 길을 걷다 보면 미끄러워 발목이 접질릴 수 있다. 특히 겨울에는 추운 날씨 탓에 근육이 긴장돼 약간 ‘삐끗’하기만 해도 다른 계절보다 발목 염좌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0년 115만 명이었던 발목 염좌 환자 수는 2023년 146만 명으로 약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좌는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상대적으로 신체 활동량이 많은 젊은 층에서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발목 염좌는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계속 발목이 고정되지 않는 만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연골 손상, 심하게는 퇴행성 관절염 같은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발목 염좌 대처 방법을 알고 후유증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 1도부터 3도까지… 상.. 2024. 12. 21. 넘어져 성장판 다친 아이, 키 안클까 걱정인 분들 위한 3가지 대처 방법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가을로 넘어온 것을 실감한다. 가을은 야외활동이 잦은 계절인 만큼 급작스러운 사고를 당할 위험도 커진다. 특히 아이들은 작은 타박상도 관절에 충격을 받을 수 있고 성장판까지 다칠 가능성이 있어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아이가 다쳤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 성장판 손상 땐 '주기적 추적관찰'성장판 손상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은 바로 성장판 골절이다. 성장판이 골절됐다고 해서 무조건 후유증이 생기진 않고 정도가 심하지 않는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기도 한다. 다만 5~10%는 영구적인 성장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성장판이 손상되면 '골교'라는 딱딱한 뼈조직이 성장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뼈가 곧게 자라지 못하고 휘게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휘거나 짧아지는 정도.. 2024. 9.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