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지털4 디지털 디톡스로 벗어나는 스마트폰 중독 (feat. 도파민 중독) 스마트폰과 SNS의 사용 시간이 늘어날수록 자극적인 미디어에 노출되는 시간도 길어지기 마련이다. 때문에 최근에는 ‘인터넷 중독’이나 ‘스마트폰 중독’ 외에 ‘도파민 중독’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짧고 자극적인 콘텐츠만을 계속해서 찾으면서 흥분을 전달하는 호르몬 ‘도파민’에 중독된 것 같은 느낌을 준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문제는 스마트폰 중독과 도파민 중독이 단순히 우리에게 즐거운 기분만을 주는 것이 아닌, 우리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는 것이다. 1. 스마트폰 많이 봤더니 몸도 마음도 다쳐…‘디지털 디톡스’가 도움 돼스마트폰을 오랫동안 사용하고, 장시간 여러 자극적인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은 인체에 여러 질환을 가져온다. 무거운 스마트폰을 오랫동안 들고 있는 동안 손목에 무리가 가면.. 2024. 6. 22. AI 기술 발전에 대한 비탈릭의 관점 (feat. 스타트렉에서 보여주는 AI) "스타트렉은 AI가 탑재된 우주선과 인간 조종사 사이의 훌륭한 조화를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하지만 그게 지속 가능할까요? 고도로 훈련된 AI에 명령을 내리는 인간은 AI보다 지능이 훨씬 낮을 것이고, AI는 인간보다 더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을 겁니다. 엄연히 경쟁이 존재하는 세계에서 인간이 기계의 뒷전으로 밀려난 문명은 인간이 고집스럽게 기계에 대한 통제권을 고수하는 문명보다 우위에 서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법적으로 여덟 살짜리 아이의 노예라 상상해 보세요. 그 아이와 오랫동안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그 아이가 당신을 자유롭게 만드는 종이에 서명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제 본능적인 대답은 '그렇다'입니다. 결국 기계가 인간이 시키는 대로 시키는 대로 일하다가 어느 순간부터는 인간.. 2024. 2. 17. 스마트폰 때문에 생긴 건강문제 7가지 (feat. 디지털 디톡스) 1. 디지털 격리 증후군 스마트폰으로 소통하는 것이 직접 만나는 것보다 더 편하게 느껴지는 것을 디지털 격리 증후군이라 한다. 직접 만나서 함께 있을 때도 서로 얼굴을 마주하고 이야기하기보다는 각자 스마트폰만 하기 바쁘다. 2. 팝콘브레인 스마트폰으로 게임이나 동영상을 많이 하면서 빠르고 강한 것에는 익숙하고 현실 속의 느리고 약한 자극에는 뇌가 반응하지 않게 되는 것을 팝콘브레인이라 한다. 강한 자극에만 뇌가 반응하고 현실에는 주의력이 떨어지고 무감각해지는 특성을 보인다. 3. 수면장애 스마트폰을 잠자리에서도 계속 보다 보면 뇌를 자극해 수면시간은 줄어들고, 숙면을 하지 못해 수면장애에 시달릴 수 있다.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불빛인 블루라이트는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여 수면장.. 2024. 1. 14. 알아두면 쓸데 있을까 하는.. 신박한 잡학사전: 5탄 1. 첫 번째 이야기 A 씨는 일이 많아 주말에 출근하게 되었다 식탁에는 방금 만든 것처럼 따뜻한 도시락이 있었고 A 씨는 당연히 주말에도 출근하는 자신을 위해 아내가 정성스럽게 준비했다고 생각하고 도시락을 가져갔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안타깝게도 도시락 주인이 따로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오전 회의 때문에 잠시 핸드폰을 사용할 수 없었는데, 아내로부터 무려 20통이 넘는 전화가 와있었다. 이에 뭔가 잘못된 것을 느낀 그는 아내에게 전화했고 도시락은 수영강사를 위한 것임을 뒤늦게 알게 됐다. 아내로부터 쓴소리를 들은 그는 결국 근무 도중 회사를 나와 도시락을 아내에게 돌려줬다. 2. 두 번째 이야기 한국의 20 ~ 30세대를 기준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에 흥미롭다. 1) 가장 싫어하는 국가는 1위.. 2023. 5.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