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력11 비만, 개인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 개선 및 정책적 노력 필요 비만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비만대사연구학회(Society for Korean Obesity and Metabolism Studies, SOMS)는 비만을 더 이상 개인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3월 4일 ‘세계 비만의 날’을 맞아 열린 온라인 좌담회에서 비만대사연구학회 전문가들은 비만을 공중보건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비만 낙인을 해소하는 것이 치료의 출발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비만학회 회장은 좌담회의 시작을 알리며 “비만은 단순한 체중 문제를 넘어 만성 질환으로 인식해야 하며,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세계비만연맹은 2035년까지 전 세계 성인 4명 중 1명이 비만을 겪을 것이며, 소아 비만도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만.. 2025. 3. 27. 허리디스크, 통증 그 이상을 살펴봐야 하는 이유 흔히 ‘추간판 탈출증’이라고도 불리는 허리디스크는 단순히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병’이라고만 인식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디스크 탈출은 무증상인 경우도 빈번히 발견됩니다. 같은 탈출 소견을 가진 사람들 중에서도 누군가는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반면, 아무런 증상 없이 일상생활을 이어가는 이들도 있습니다. 이는 허리디스크가 단순한 구조적 문제를 넘어 △신경의 염증 반응 △근육 긴장 △심리적 요인 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1. 허리디스크 치료,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해야허리디스크 치료는 단순히 통증을 없애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환자가 척추 건강을 유지하고 재발을 방지하며 스스로의 삶을 온전히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치료의 진정한 핵심입니다. 어떤 치료가 도움이 되는지 자세히.. 2025. 1. 24. 화를 참아야 할 때, 도움 되는 작은 습관들 (feat. 참을 인) 우리는 일상 속 불쑥 찾아오는 분노를 참으며 살아간다. 하지만, 잘 찾다가도 어느 순간 참을 수 없는 분노가 찾아올 때가 있다. 조금씩 쌓인 분노가 평소였으면 넘어갈 작은 일에 터져 나오기도 한다. 일상생활 속 참을 수 없는 화가 찾아올 때, 어떻게 해야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까? 1화를 가라앉히는 간단한 방법극심한 분노가 찾아오는 순간에는 절제력 없이 행동해 실수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화가 심할 때는 그 자리를 피하는 것이 좋다. 분노라는 감정은 생각보다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잠깐이라도 의식을 화가 난 원인에서 다른 곳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다. 15분 정도만 자리를 피해도 분노는 어느 정도 잦아든다. 분노가 잘 조절되지 않는다면 몸을 이완한 후 숫자를 세는 것이 좋다. 1부터 10까지.. 2024. 9. 19. 나이들면 퀴퀴한 냄새가 나는 이유와 관리 방법 (feat. 노년기의 증상) 노년기에 접어들면 젊었을 때는 없던 증상들이 하나둘씩 생긴다. 관절은 콕콕 쑤시고, 머리는 하얘지고, 주름은 자꾸만 늘어난다. 그리고 갑자기 나지 않던 냄새도 나기 시작한다. 흔히 '노인 냄새'라고 표현되는 가령취다. 탁하고 쾨쾨한 것이 특징인 가령취가 나타나면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 그렇다면 가령취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이며,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 1. 자연스러운 변화 '가령취', 노력으로 줄일 수 있어노인 냄새의 주원인이 되는 물질은 '노넨알데하이드'다. 피지 안 지방이 산화되며 만들어지는 이 물질은 모공에 쌓이면 부패하면서 퀴퀴한 냄새를 만든다. 대개 노넨알데하이드는 젊었을 때는 생성되지 않다가 40대 이후부터 서서히 생기고, 이후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이 생성된다... 2024. 7. 22. 하버드 대학 도서관에 붙은 명언 30가지 (feat. 지금 잠을 자면 꿈을 꾸지만 지금 공부하면 꿈을 이룬다.) 01. 지금 잠을 자면 꿈을 꾸지만 지금 공부하면 꿈을 이룬다. Sleep now, you will be dreaming, Study now, you will be achieving your dream. 02.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갈망하던 내일이다. Today that you wasted is the tomorrow that a dying person wished to live. 03. 늦었다고 생각했을 때가 가장 빠른 때이다 When you think you are slow, you are faster than ever. 04.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마라 Don't postpone today's work to tomorrow. 05. 공부할 때의 고통은 잠깐이지만 못 배운 .. 2024. 3. 25. 사업을 하면서 잘 못했던 일과 실패한 의사결정 (feat. 교훈과 성장) 1. 1인 미디어 시절 갑자기 주목받으면서 생긴 후광 효과, 타인의 기대에 맞추려는 노력 예를 들어 갑자기 등장한 사람이 실리콘밸리에 있는 훌륭하신 분들을 만나고 다니고 수조~수십조의 CEO들을 구독자가 10,000명도 안 될 때부터 만나고 인터뷰하고 다니니까 많은 사람들이 나름대로 나에 대해 생각하고 대했다. 예를 들어서 내가 분명히 유학생 출신일 것이다라고 생각하면서 강연장에서 만나서 갑자기 한국말로 대화하다가 영어로 말을 하는 분들이 여럿 계셨고, 특히 2018년에 블록체인 분야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에 대해 내가 당연히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어젯밤에 일어난 트윗, 하드포크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냥 모르는 걸 모른다고 했으면 될 걸 몇 번 정도는 아는 척을 하면.. 2024. 3. 14. 사업을 하면서 느낀 점 5가지 (feat. 고민보다는 실행) 1. 개인 미디어에서 미디어 브랜드로 바꾼 것 유튜브 시작하고 1년 정도 지나서 혼자서 다양한 산업을 공부하고 기술 트렌드 쫓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느꼈고, 구독자들이 나보다 가방끈 길고 똑똑한 사람들임을 깨달았음. 결국 팀으로 일해야 하는데 뛰어난 인재들이 한 사람의 유명세 확장에 기여하는 삶을 살 리가 없다고 생각했고, 개인으로 얼굴을 팔면 빨리 신뢰를 살 수 있지만 스케일이 나오기 어렵다고 생각했음. 대부분의 큰 미디어들은 창업주, CEO가 누구인지도 알기 어렵고 그게 오디언스한테 중요하지도 않아서 스케일이 나온다는 걸 알게 됨. 개인 브랜드는 로컬과 개인의 시간, 역량에 성장 한계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음. 미스터비스트 같은 사람도 있지만 난 그렇게 될 수 없음을 일찍 깨달음. 회사의 성장과 개.. 2024. 3. 2. 운이 폭발하기 전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 10가지 (feat. 한 번 사는 인생,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당신은 꼭 잘 됩니다. 지금까지 잘했고, 지금도 잘하고 있고, 앞으로도 멋지게 해낼 겁니다. 당신은 정말, 꼭 잘 됩니다. 다음은 운이 대폭발 하기 직전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 10가지입니다. 1. 불면증을 겪는다. 2. 건강상태가 변화한다. 3. 이사, 퇴직, 결혼등 환경이 바뀐다. 4. 관심 없던 분야에 관심이 생긴다. 5. 취향이나 습관이 바뀐다. 6. 인간관계가 저절로 정리된다. 7. 가치관이 바뀐다. 8. 안 좋은 일이 계속 온다. 9. 감정 기복이 심해진다. 10. 무기력하고 잠이 온다 당신 삶이 힘들어졌다면, 당신 운은 새롭게 바뀌고, 이전과는 다른 삶을 살게 될 거다. 힘들더라도 아직 포기하지 말자. 아니, 절대로 포기해선 안 된다. 힘들다고 포기하기엔 당신에게 다가올 좋을 날들이 너무 아.. 2024. 2. 13. 덕(德), 수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얻은 노력의 결과 덕(德)은 수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얻은 수양(修養)의 산물(産物)이며 노력의 결과 입니다. 덕에는 음덕(陰德)과 양덕(陽德)이 있는데, 음덕은 남에게 알려지지 않은 선행(善行)을 말하고, 같은 선행이라도 남에게 알려진 덕을 양덕이라고 합니다. 세상에는 스스로 빛과 향기를 드러내는 존재와 제 스스로는 아무 것도 드러내지 않으면서 다른 존재들이 빛과 향기를 낼 수 있도록 돕는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물과 꽃이 그렇습니다. 아름다운 꽃을 피울 수 있도록 생명력을 불어넣는 물은 항상 가장 낮은 곳으로 흐르면서 세상의 온갖 때를 다 씻어줍니다. 바위와 험한 계곡을 마다하지 않고 모든 생명을 위해 묵묵히 그리고 쉬지 않고 흐르며 생명을 낳고 키웁니다. 그런 물과 같은 사람, 물과 같은 인생이야 말로 가장 아름답.. 2023. 11.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