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나이별3

재미로 보는 나이를 먹는다는 것에 대한 의미 (feat. 당신의 나이는?) 1세: 누구나 비슷하게 생긴 나이. 2세: 직립보행을 시작하는 나이. 3세: 간단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나이. 4세: 떡잎부터 다른 나이. 5세: 유치원 선생님을 신봉하는 나이. 6세: 만화 주제곡에 열광하는 나이. 7세: 아무 데서나 춤을 춰도 귀여운 나이. 8세: 편지를 쓸 수 있는 나이. 9세: 세상을 느낄 수 있는 나이. 10세: 관찰일기를 쓰는 나이. 11세: 할머니에게 살아가는 즐거움을 선물하는 나이. 12세: 돈의 위력을 알 만한 나이. 13세: 밀린 방학일기를 한꺼번에 쓰는데 익숙한 나이. 14세: 얼굴에 조금씩 여드름 꽃이 피기 시작하는 나이. 15세: 운동장에 누워 ‘한게임 더’를 외칠 수 있는 나이. 16세: 의무 교육과정이 끝나는 나이. 17세: 엑소의 노래를 목청 높여 열광하는 나이.. 2024. 1. 7.
나이별로 다르게 부르는 한자어 (feat. 살아온 년수를 지칭하는 나이) 나이를 물을 때 '너 몇 살이지?' '살'은 '살다'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겠네요. 살아온 연수(년수)를 지칭하는 우리말은 '나이'입니다. '나이'와 같은 평어(일반어)로는 '연령(年齡), 연식(年食)'등이 있네요. '나이'의 높임말은 '연세(年世), 춘추(春秋), 연치(年齒)'등 한자어가 대부분입니다. 자기 '나이'를 낮추어 겸손하게 부르는 '견마지년(犬馬之年 개나 말의 나이)'라는 말이 있어요. 나이별로 다르게 부르는 한자어를 알아볼까요? 1. 0~1세 (갓 태어난 아이) 득남(得男), 득녀(得女)​라는 말은 처음에 태어날 때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부르는 말 농장(弄璋) : 아들은 옥구슬(璋)을 가지고 놀기에 붙여진 이름 농와(弄瓦) : 딸은 기와(瓦)를 깨어 공기놀이 하는 것을 상상하면 될까요?.. 2023. 9. 20.
한자어로 살펴본 사람의 일생, 나이별 지칭 (feat. 인생여정표) 10대 : 沖年(충년) 15세 : 志學(지학) 16세 : 瓜年(과년) 20세 : 弱冠(약관, 남자) / 芳年(방년, 여자) 30세 : 而立(이립), 立志(입지) 40세 : 不惑(불혹) 50세 : 知天命(지천명) 60세 : 耳順(이순), 六旬(육순) 61세 : 還甲(환갑) 62세 : 進甲(진갑) 70세 : 古稀(고희), 從心(종심), 七旬(칠순) 71세 : 望八(망팔) 77세 : 喜壽(희수) 80세 : 八旬(팔순), 傘壽(산수) 81세 : 望九(망구) 88세 : 米壽(미수), 八+八을 모으면 米 90세 : 九旬(구순), 卒壽(졸수) 91세 : 望百(망백) 99세 : 白壽(백수), 百자에서 一을 빼면 白 100세 : 上壽(상수), 期願之壽(기원지수) 111세 : 皇壽(황수) 120세 : 天壽(천수) 오래오래.. 2023.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