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제2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조금 더 오래 유지될 가능성 (feat. 국내 총생산 증가) 25일(현지 시각) 미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연율 3.3%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2%)를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다. 한편, 2023년 3분기 실질 GDP는 4.9% 했으며 연간 성장률은 2.5%로 집계됐다. 2022년 성장률 2.1%보다 0.5%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는 소비가 2.8% 증가하면서 성장을 이끌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제 생산량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은 지속적인 성장의 원동력으로 간주된다”며 “경제학자들이 1년 전 경기침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올해 빈약한 0.2% 성장을 예상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라고 했다. 나는 전문가들의 전망과는 다르게 미국은 빈약한 성장 없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면서 인.. 2024. 2. 11. YTN 신냉전 특집, 국제전쟁 (feat. 중국-대만 양안 전쟁) YTN에서 신냉전 특집으로 국제전쟁을 다루고 있는데, 보니깐 중국-대만 양안 전쟁에서 중국이 침공하면 대만은 2주를 못 버티지만 미국과 일본이 대만을 지원하면 중국의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처럼 장기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너무 피상적이고 너무 정적(static)인 분석이다. 국제정세 상호작용을 보지 않고 너무 군사력 위주로만 보고 있다. 나는 중국-대만 양안 전쟁의 발발가능성 자체를 매우 낮게 본다. 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2차 침공)에 대해 이미 발발 1년 전에 2022년에 발생한다고 예측을 했었고 유럽의 지도자들이 무능하고 너무 탐욕이 많아서 전쟁 발발을 막을 능력이 없다면서 전 세계적 고금리인플레위기를 대비하라고 주식과 부동산 투자에 유의하라고 .. 2024. 2.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