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가3

나라별 대표적인 발효식품 (feat. 한국, 이탈리아 그리고 프랑스) 곰팡이나 효모 등 미생물이 성장하고 대사 과정을 거치면서 만든 발효식품. 발효식품에는 이로운 미생물이 풍부하고, 특유의 풍미와 식감을 가지고 있다. 나라별 대표적인 발효식품에는 어떤 것들 것 있는지 알아본다. 1. 한국의 ‘김치’배추와 고춧가루, 마늘, 젓갈 등을 버무린 뒤 발효시키면, 매콤하고 감칠맛 나는 김치가 완성된다. 김치 속에 풍부한 유산균은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도와 장 내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김치는 훌륭한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꼽힌다. 주재료인 배추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포만감을 주고, 고추의 캡사이신 성분과 마늘의 알리신 성분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 지방을 연소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 이 밖에도 부원료인 파, 생강 등에는 알리신, 진저롤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들어 있어 면역력 .. 2024. 9. 22.
비트코인, 간단한 수학과 보안기술의 결합체 코인 이야기가 자주 나오는 것을 보니 비트코인이 강세인 모양이다. 비트코인은 간단한 수학과 보안기술의 결합체다. 그래서 말도 많고 탈도 많다. 비트코인을 이해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이것을 발행하는 국가를 한번 가정해 보는 것이다. 이 국가는 강력한 보안기술을 가지고 있어서 절대로 해킹이 불가능하다. 이 국가에서 비트코인이라는 화폐를 발행하고 있다. 총 발행개수도 이미 정해져 있다. 이 국가는 신용도도 최고라 이 발행개수가 변경될 가능성은 앞으로 영원히 없다. 여기까지 보면 이 국가의 화폐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하지 못할 이유가 없는데 화폐가 맞네 아니네 논란인 이유는 이 화폐가 전적으로 IT기술 와 컴퓨터 알고리즘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기술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으면 인정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기.. 2024. 3. 25.
경제학의 측면에서 바라본 동반성장과 소득격차의 이해 1. 소득의 증가와 변화하는 주변환경 영국이 잘 나갈 때 해로드백화점은 최고 명소였다. 다이애나비가 이 백화점 아들을 사귄 적도 있다. 그런데 신세계 강남점 매출이 연 3조 원이다. 런던의 해로드백화점이나 도쿄의 이세탄 신주쿠보다 더 높다. 한국 경제가 발전하면서 낯선 경제 수치들이 우리 앞에 쏟아진다. 급여도 마찬가지다. 진짜 팍팍 오른다. 대기업은 물론이고, 은행 등 대형 금융회사의 부장급 연봉이 이제 1억 5천만 원을 육박한다. 부산에서 피부과 전문의 한 명 고용하려면 연봉 3억 원은 불러야 내려온다. 그래서 지난해 E클래스는 전 세계에서 중국 다음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렸다. 샤넬 핸드백은 1조 6천억 원어치가 팔렸다. 나인원 한남 244㎥은 지난해 공시가격만 97억 원이다. 2. 불공평한 소.. 2023.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