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거시경제3

파월 기자회견 주요사항 요약본 (feat. 생동감있는 생방송 느낌으로) 1. 금리인하를 위해 어떤 지표를 볼래? (인플레 떨어지겠지) 확신은 있지만, 더 강력한 확신이 필요 “we just need to see more” 6개월 동안 좋은 데이터 나왔음. 2. Nick Timiraos | 형~ 이렇게 높은 금리 계속 유지할 거야? “Almost every participant on the committee does believe that it’ll be appropriate to reduce rates,” 모든 연준의원이 금리인하가 필요하다고 믿고 있음! 인플레 둔화되고 있고 성장도 강하고 노동시장 강력함. 3. 인하 전에 인플레이션 하락이 필요하나? 고용관련해서는 12개월 인플레이션을 보는데, 예전보다 훨씬 긍정적이지만, 더 많은 데이터 필요. Powell says pol.. 2024. 2. 17.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조금 더 오래 유지될 가능성 (feat. 국내 총생산 증가) 25일(현지 시각) 미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연율 3.3%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2%)를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다. 한편, 2023년 3분기 실질 GDP는 4.9% 했으며 연간 성장률은 2.5%로 집계됐다. 2022년 성장률 2.1%보다 0.5%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는 소비가 2.8% 증가하면서 성장을 이끌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제 생산량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은 지속적인 성장의 원동력으로 간주된다”며 “경제학자들이 1년 전 경기침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올해 빈약한 0.2% 성장을 예상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라고 했다. 나는 전문가들의 전망과는 다르게 미국은 빈약한 성장 없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면서 인.. 2024. 2. 11.
2024년, Digitalasset Korea에서 몇 가지 키워드 및 이슈를 제언 1. BTC 시장 예측불가 글로벌 마켓 기준 채권시장은 급격한 기준금리 하락을 예측 중이며, 또한 주식시장은 높은 상승을 예견하고 있진 않음. 위험자산과 연동되어 있는 비트코인 시장도 높은 상승을 예견하기는 어려운 상황. 하지만, ETF/반감기 등의 호재도 앞둔 상황이라 섣불리 시장을 예측하기보다는 대응으로 접근이 필요. 2. L2 조심 억지 유동성(?)으로 올린 L2의 위험을 조심해야 할 것. 특히 중국 중심의 유동성으로 억지로 가격을 올려놓은 것들 3. AI+블록체인 GPU 자원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나 이는 VRAM 탑티어급(리테일 기준 4090, 3090)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 유의미한 인프라를 제공하거나, 콘텐츠/프로덕트 단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젝트라면 들여다볼 필요가 있음. 4. .. 2024.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