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박2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닌 강박적으로 먹는 아이 비만 아동·청소년 중 일부는 특정 음식을 조절하지 못하는 ‘음식 중독’ 성향을 보이며, 이들이 우울, 불안, 충동 조절 등의 정서·행동 문제를 겪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떠오른 음식 중독. 과연 음식 중독이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다. 1. 비만 아동 5명 중 1명은 ‘음식 중독’ 위험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비만 아동·청소년에서 음식 중독과 정서·행동 문제 사이의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하고, 해당 연구 결과를 전문 학술지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평균 연령 11.4세의 과체중 이상 아동·청소년 2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전체 참가자의 19.6%인 44명이 음식 중독 고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음식 .. 2025. 4. 1. 쇼펜하우어, 90세를 넘게 건강하고 활기차게.. (feat. 염세주의자) 쇼펜하우어가 90세를 넘게, 그것도 꽤 건강하고 활기차게 살았던 것을 두고 니체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비웃곤 했다. 염세주의자가 이 세상이 뭐가 좋아서 그리 악착같이 살았느냐는 것이다. 답은 간단하다. 쇼펜하우어는 염세주의자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의 사상의 핵심은 세상이 더럽게 염증 난다는 게 아니라, 그 염증 나는 세계로부터 해방되는 길이 있다는 것이었다. 그의 철학의 끝에는 통쾌한 우주적 뒤집기, 거대한 형이상학적 반전이 기다리고 있다. 쇼펜하우어는 세계에 절망하거나 생을 포기하지 않고 오히려 형이상학적 해방의 가능성을 치열하게 모색했다. 그는 퇴폐적인 염세주의자가 아니라 정직한 구원론자였다. 쇼펜하우어는 세상을 따돌리는 법을 깨달았고, 운좋게도 그것을 실천으로 옮길 수 있었다. 그러므로 그의 이.. 2024. 1.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