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정5 아내를 대할 때 남편이 명심해야 할 10가지 원칙 1. 아내를 관리하지 말라. 아내는 재산이 아니라 동반자이다. 동반자란 명령의 관계가 아니라 협조의 관계이다. 2. 결혼 초기에 보여 주었던 사랑을 계속 보여 주라. 계속적으로 흐르지 않는 사랑은 썩게 마련이다. 사랑은 연탄불과 같다. 계속 붙지 않으면 꺼지게 된다. 3. 기다리지 말고 먼저 하도록 하라. "시간이 가면 해결되겠지 남자 체면에 그럴 수 있나? 여필종부 아닌가? 여자의 미덕은 순종이다."라는 생각은 아예 말라. 4. 아내를 생과부로 만들지 말라. 새벽 한 두시에 늦게 들어오는 버릇을 고치라. 휴일에 혼자 외출하지 말라. 5. 아내를 남과 비교하지 말라. 가정에서 내 남편, 내 아내가 최고라는 긍지를 갖고 살라. 6. 상을 찌푸리고 집에 들어가지 말라. 가정은 병원이 아니다. 그대의 미소, .. 2024. 3. 27. 가정상비약으로 필수적인 4가지 (feat. 알아두면 쓸모 있는 정보) 1. 쥐 날 때: 포카리스웨터, 음료수 집에서 자다가 쥐가 나거나 산에 오르다 쥐가 나는 사람들이 많다. 이땐 를 마셔라. 그리고. 한병, 무조건 마트에서 구입해서 냉장고에 준비요. 다른 처방. 아무리 주물러 줘도 풀리지 않아 119에 전화하니 구급대원들이 갖고 온 것은 굳었던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를 보는 게 . 2. 가슴이 답답하고 심근경색엔: 니트로 글리세린 우리나라에서 갑자기 심근경색으로 죽는 사람이 줄잡아 일 년에 4만 명에 가깝다. 갑자기 가슴이 쥐여 짜게 아플 때 아주 콩알만 한 알약을 혀밑에 넣어 녹여주면 즉시 효과를 보는데 그 약명이 이다. 심장이 부정맥이고 이런 현상으로 스텐트를 박은 사람이 병원서 주는 작은 비상알약이 바로 이건대 가정상비약으로 필수다. 동네병원 가서 처방전을 받아 약국.. 2024. 3. 24. 세탁소에서 알려주지 않는 세탁꿀팁 총정리 (feat. 세탁소 가지 마세요.. 집에서 가능해요) 1. 셔츠 깃의 찌든 때 셔츠를 자주 입지 않았는데도 얼마 지나고 보면 옷깃에 누렇게 물든 걸 많이 보셨을 텐데요. 찌든 셔츠에 샴푸를 바른 후 손세탁이나 세탁기에 넣어서 세탁을 하면 됩니다. 비비지 않아도 찌든 때가 사라져서 편하게 세탁할 수 있습니다. 2. 색이 바랜 검은색 옷 색깔이 바랜 검은색의 면 종류 옷이면 빨래를 할 때 맥주 한 컵을 넣어서 헹구면 됩니다. 그중에서 모 성분의 옷은 시금치 삶은 물에 세탁을 하면 검은색이 선명하게 나타나 새 옷처럼 입을 수 있습니다. 3. 아기 기저귀 깨끗하게 세탁하는 법 마지막에 식초를 한 컵 한 컵 넣어주세요. 갓난아이의 기저귀를 세탁할 때 잘 헹궈도 세제가루나 암모니아 성분이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저귀를 마지막으로 헹구는 단계에서 식초 한 .. 2024. 1. 11. 집안이 풍요로워지는 가훈 총집합 (feat. 고사성어 30가지) 1.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가정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되어 나간다 2.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 3.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4.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을 억제하여 바른 행동을 한다 5.公生明 (공생명) 공평하면 판단을 그르치지 않는다 6.見仁見智 (견인견지) 사람은 보는 것에 따라 생각을 달리한다 7.結者解之 (결자해지) 자기가 저지른 일은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8.結草報恩 (결초보은) 죽어서도 잊지 않고 은혜를 갚는다 9.敎學相長 (교학상장) 가르침이나 배움이 나에게는 모두 도움이 된다 10.騎虎之勢 (기호지세) 호랑이 등에 타고가다가 내리게 되면 잡혀 먹힌다는 뜻.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면 중도에 포기하지 말라 11.空手來空手去 (공수래공수거) 태어나서.. 2023. 11. 22. 가정이나 사업체에서 화재 사고로 인한 화상 응급 처치 방법 가정이나 사업체에서 화재 사고로 인한 화상 응급 처치 방법 가정이나 사업체에서 화재 사고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만일 주변에서 그런 일이 벌어졌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화상 후 첫 응급처치는 흐르는 수돗물이나 식염수에 화상 부위를 15분가량 대 화상 부위의 온도를 낮추는 겁니다. 이 같은 조치는 화상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막고 통증도 줄여 줍니다. 그러나 얼음물은 주의해야 합니다. 대상이 어린이라면 자칫 저체온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옷 위에 불이 붙었다면, 무리해서 옷을 벗기지 말고 찬물을 붓거나 바닥에 굴러서 불을 끄는 게 좋습니다. 감염 방지를 위하여 깨끗한 거즈로 상처를 덮거나 거즈가 없다면 마른 수건을 사용하여 상처를 보호해야 합니다. 물집은 터뜨리지 않은 상태에서 병원으로 와야 합니다... 2023. 8.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