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의학상식

피부암과 림프종 발병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지는 문신

by 트렌디한 건강 상식 2025. 4. 29.
반응형

피부암과 림프종 발병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지는 문신
피부암과 림프종 발병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지는 문신

 

문신을 한 사람은 문신이 없는 사람보다 피부암과 림프종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남부대학교 연구팀은 1960~1996년 사이에 출생한 쌍둥이 2,367명을 대상으로 문신 색소 노출과 암 발병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손바닥보다 큰 문신이 있는 경우 피부암과 림프종 발병 위험이 각각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신에 사용되는 색소 입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피부에만 머무르지 않고, 신체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실제로 문신 색소가 국소 림프절에 축적되거나, 혈류를 통해 다른 장기로 이동하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문신 색소의 이동 경로에 대한 이 같은 관찰은, 색소 성분이 피부를 넘어 면역계나 내부 장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이러한 특성에 주목해, 문신 색소가 침착되는 부위에서 국소 염증 반응이 유도될 수 있으며, 이 염증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특히 피부와 림프절은 문신 색소가 직접적으로 축적되는 주요 부위이기 때문에, 해당 조직에서의 세포 변화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았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문신 색소가 피부나 림프절에 침착되면서 세포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색소 침착 가설(ink deposit conjecture)’을 세우고, 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방식의 쌍둥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문신을 한 사람은 피부암에 걸릴 위험이 문신을 하지 않은 사람보다 1.62배 높았으며, 특히 기저세포암을 제외한 피부암만 따졌을 때는 발병 위험이 3.91배로 거의 4배 더 높아졌다. 기저세포암의 경우에도 문신한 사람의 발병 위험이 2.8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형

암뿐 아니라 림프종과 문신의 연관성도 확인됐다. 특히 문신 면적이 손바닥보다 큰 경우, 림프종 발병 위험이 2.73배, 피부암은 2.37배로 증가했다. 흡연 같은 생활습관 요인의 영향을 통제해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제1 저자인 시그네 베드스테드 클레멘센(Signe Bedsted Clemmensen) 박사는 “문신 색소가 면역 반응을 일으켜 장기적으로 세포 증식을 유도하고, 이는 암 발생의 잠재적 경로가 될 수 있다”며 “향후 문신 색소의 구성 성분뿐 아니라, 색소 입자가 신체 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병태 생리적 경로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문신 색소 노출과 림프종 및 피부암 발생 간의 연관성: 덴마크 쌍둥이 연구, Tattoo ink exposure is associated with lymphoma and skin cancers – a Danish study of twins)는 2025년 1월 국제 학술지 ‘BMC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에 게재되었다.


 

 

수술 치료 없이도 회복 가능한 테니스엘보 (feat. 생활 습관 교정)

​‘테니스엘보(Tennis Elbow)’는 테니스 선수에게 자주 발생해 붙은 이름이지만, 실제로는 테니스 선수가 아니더라도 팔을 반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mkpark02.tistory.com

 

 

호르몬 불균형과 식욕 조절이 필요한 갱년기 여성 복부 비만

'갱년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겪게 되는 현상입니다. 여성에게는 생리주기가 중단되고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로, 대부분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에 발생합니다. 이 시기에는

mkpark02.tistory.com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병 원인과 증상 및 치료 방법

40대 여성 김 모씨는 최근 들어 잠을 충분히 자도 피로가 가시지 않고, 유독 추위를 심하게 느꼈다. 처음에는 단순한 피로 누적이라 여겼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무기력감이 심해지고, 적게 먹어도

mkpark02.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